65세 이상 실업급여 수령금액, 직접 계산해보세요!
65세 이상도 조건만 맞으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데요, “과연 내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”가 가장 궁금하시죠?
오늘은 실업급여 수령금액을 직접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 예상 금액을 알면 생활 계획을 세우는 데도 훨씬 도움이 되실 거예요.
고용보험 가입확인 안내
✅ 1. 실업급여 지급 기준 공식
실업급여는 다음 공식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하루 실업급여 = 이직 전 평균임금 × 60%
단, 법적으로 정해진 최저/최고 지급액 범위 안에서만 지급됩니다.
2025년 기준
- 🟢 하한액 (최소 지급): 77,120원
- 🔴 상한액 (최대 지급): 77,000원
※ 하한액이 상한액보다 높은 것은 고령자 특별기준에 따른 상황입니다.
✅ 2. 내 실업급여 계산 예시
예를 들어보겠습니다.
🧾 A씨 사례:
- 65세 이후 퇴직
- 이직 전 3개월 평균 월급: 210만 원
- 210만 원 ÷ 30일 = 하루 평균임금 70,000원
- 70,000원 × 60% = 하루 실업급여 42,000원
- 그러나 하한액이 77,120원이므로 77,120원으로 지급
➡️ 즉, 월 약 230만 원 정도 수령이 가능합니다.
✅ 3. 최대 수령 금액은?
실업급여는 최대 270일까지 지급될 수 있으며, 총 지급일수는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.
가입 기간 | 지급일수 |
---|---|
1년 이상 ~ 3년 미만 | 120일 |
3년 이상 ~ 5년 미만 | 150일 |
5년 이상 ~ 10년 미만 | 180일 |
10년 이상 ~ 20년 미만 | 210일 |
20년 이상 | 270일 |
예시: 하루 77,120원 × 270일 = 약 2,082만 원 수령 가능
✅ 4. 자동 계산기 활용하기
📱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모의계산기를 이용하면 아주 간편하게 수령금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.
👉 고용보험 홈페이지 바로가기
- 홈페이지 접속 → ‘개인서비스’ 클릭
- ‘실업급여 모의계산기’ 이용
- 최근 3개월 평균 급여 입력 → 자동 계산
정확한 예상 금액과 지급일수를 확인할 수 있어서 정말 유용합니다!
✔️ 마무리 요약
- 실업급여 = 평균임금 × 60%
- 단, 하루 최소 77,120원 ~ 최대 77,000원 지급
- 최대 수령액: 약 2,082만 원 (270일 수급 시)
- 고용보험 모의계산기로 간편하게 확인 가능